가상자산 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중앙화 거래소(CEX)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사용자 자산의 자율적 관리와 투명성을 핵심 가치로 내세운 탈중앙화 거래소(DEX)로의 흐름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업계 거물들의 입을 통해 더욱 뚜렷해지는 변화
이 같은 변화는 업계 거물들의 입을 통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의 창업자 창펑자오(CZ)는 최근 인터뷰에서 “DEX는 결국 CEX보다 더 큰 시장이 될 것”이라며 “DEX와 CEX는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블록체인 생태계로 들어가는 두 개의 입구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CZ는 “CEX는 이메일과 비밀번호라는 익숙한 방식으로 블록체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관문”이라며 “반면, DEX는 자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진정한 탈중앙화의 구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우리는 CEX에만 얽매이지 않는다. 오히려 현재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괴할 바로 그것들에 투자하고 있다”며 DEX를 포함한 탈중앙화 생태계의 미래에 강한 확신을 내비쳤다.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반영되는 관점
이러한 관점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빠르게 반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BULLBIT’(불비트)이다.
BULLBIT는 오랜 기간 CEX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자산 완전 통제 기능을 강화한 자체 DEX 플랫폼을 론칭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단순한 거래 기능을 넘어, 디파이(DeFi) 생태계와의 연동, 멀티체인 자산 지원, 투명한 오더북 시스템 등 DEX 핵심 요소를 대거 탑재했다.
특히 BULLBIT 관계자는 “우리는 단순한 탈중앙화 거래소가 아닌, 차세대 디지털 자산 시장의 기준이 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며 “개인 투자자뿐 아니라 기관들도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신뢰 기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앙화에서 탈중앙화로의 대전환
이처럼 기존 CEX의 한계를 직시한 글로벌 거래소들이 DEX 구축에 앞다투어 나서고 있는 상황은, 향후 거래소 주도권이 중앙화에서 탈중앙화로 이동하는 대전환의 서막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DEX는 단순한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자산 주권과 금융 자율성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한 해답”이라며 “향후 몇 년간 이 생태계의 확장 속도는 기존 금융의 틀을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글로벌 규제 환경이 강화되는 흐름 속에서도 DEX는 높은 보안성, 투명한 구조, 사용자 자산 직접 소유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더욱 매력적인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